|
1. 계획단계 |
컨설팅 목적공유 비전수립 |
- 컨설팅 목적공유 및 결과 범위 확인
- 컨설팅 아웃풋 이미지 공유 및 확인
- 컨설팅 역할과 책임, 소통 채널 정의
- 컨설팅 역할과 책임, 소통 채널 정의
- 컨설팅 마스터플랜 및 비저닝
- 의사결정 프로세스 분석 및 이해
|
|
|
CHECK |
2. 분석단계 |
고객니즈 분석 및 컨설팅 비전수립 |
- 기관별 정·현원 관리에 따른 결원 확인
- 미래 인력 수요 확인
- 직무능력중심 기반 채용대상 직무 분석
- 직무능력중심 분류 및 SME 서베이를 통한 Mapping
- 평가요소 도출
|
|
|
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채용대상 직무관련 능력단위 확인 |
- 선정된 능력단위별 중요도를 고려한 수행준거 확인
- 중요한 수행 준거와 관련된 직업기초능력 조사
- 지식(K), 기술(S), 태도(A), 경험 및 경력(O) 조사
- 채용시 신입직원 평가에 반드시 요구되는 능력을 감안하여 직업기초능력과 직무 수행능력 (KSAO) 선정
|
|
|
PLAN |
3. 설계단계 |
블라인드 채용 프로세스 설계 |
- 기관의 인재상, 비전, 핵심가치와 능력중심 평가 준거 확인
- 확인된 평가 준거 및 능력을 선발기법과 Matrix 화
- Assessment mix matrix 구조화
- 능력별 선발기법 선정을 위한 Matrix 설계
- 선발기법의 적용단계 결정
|
|
|
채용프로세스별 선발기준 설정 |
- 채용대상 직무와 연계된 직무(세분류)의 구체적인 능력단위를 직무능력중심 직무분류체계에서 선정
- 주요 KSAO를 토대로 평가요소 구체화
- 채용대상 직무 수행에 필요한 KSAO 등을 가장 적합한 평가방법과 연계하여 선발/평가방법 설계
|
|
|
DO |
4. 개발단계 |
블라인드 채용 공고문 개발 |
- 차별적 요소가 배제된 블라인드 채용공고문 구성항목 개발
- Mapping에 따른 직무능력
- 능력단위.능력단위요소에 대한 KSAO 분석/개발
- 해당 직군의 직업기초능력 도출
- 직무능력중심 기반 RJP(채용직무 설명자료) 개발
|
|
|
블라인드 채용 입사지원서 개발 |
- 차별적 요소를 제외한 직무능력 중심 입사지원서 항목 개발
- 신상, 교육, 자격, 경력, 경험, 직무관련 활동 구성
- 직무능력중심 입사지원서 개발/평가방법 개발
- 직무능력 소개서 개발/ 평가방법개발
- 자기소개서 개발/평가방법 개발
|
|
|
블라인드 채용 필기문항 개발 |
- 필기전형 문항개발의 프로세스 설계
- 평가 영역(평가요소, 수행준거. 평가기준 등) 개발
- 평가 문항(문항 유형, 난이도, 평가척도 등) 개발
- 작업기초능력 및 직무수행능력 필기문항 개발
- 인성, 적성, 논술, 전공, 상식, 인문학 등의 필기문항 개발
|
|
|
블라인드 채용 면접전형 개발 |
- 평가대상(대상직무, 평가요소, 수행준거) 선정
- 기관에 적합한 면접기법(경험/상황/기술/활동면접 등) 개발
- 면접기법 별 면접질문 개발 및 시뮬레이션 과제 개발
- 면접기법 별 프로세스 개발
- 면접관 오류를 최소화한 능력기반 면접 평가표 개발
|
|
|
블라인드 채용 면접관 교육 |
- 블라인드 채용과 면접의 이해
- 면접기법(경험/상황/기술/활동 등)의 종류와 활용기술
- 면접기법 별 질문, 관찰, 판단, 평가, 결정스킬 교육
- 평가자 오류 관리 및 면접 진행스킬 교육
- 블라인드 채용기반 모의면접 롤플레이
|
|
|
ACTION |
5. 실행단계 |
블라인드 채용 서류전형 대행 |
- 대량지원에 대응 가능한 블라인드 지원서 설계
- 기관 및 기업 조건에 맞는 정량 및 정성적 배점 기준안 도출
- 직무능력 중심 블라인드 입사지원서 평가 대행
- 자기소개서, 경험 및 경력기술서 서류 평가 대행
- 20년 이상 평가 전문가가 평가 후 서류전형 순위 결정 및 보고
|
|
|
블라인드 채용 필기전형 대행 |
- 직업기초/직무수행능력 문제출제, 평가대행 및 결과 보고
- 인성, 적성, 논술, 전공, 인문학적 소양 관련 출제, 평가 및 결과보고
- 출제방법, 출제범위, 진행방식, 검사시간, 응시인원 등 사전 협의
- 출제위원 선정, 문제출제, 문제검수, 보안, 편집, 예비조사, 관리감독
- 감독관교육, 시험운영, 채점, 결과보고, 합격자보고 및 발표 대행
|
|
|
블라인드 채용 면접전형 대행 전문 면접관 파견 |
- 블라인드 면접전형의 투명성, 공정성 확보를 위한 외부평가 고려
- 민간자격인 전문면접관 시험 운영 기관으로서의 다수의 선발 전문가 확보
- 20년 이상의 면접 경험 보유 전문가로 이뤄진 높은 수준의 전문가 파견
- 객관적인 평가로 블라인드 기반 직업기초능력 및 직무수행능력 평가
- 전문적인 면접기법 전수로 귀사의 면접운영 노하우 및 선발 능력 상승
|
|
|
블라인드 채용 합격자 선정 |
- 수행준거나 공인된 등급에 근거하여 합격자 선정
- 채용결정 Matrix 활용 기법 전수
(개별질문 별 평정, 면접 후 평정요소 능력별평정, 지원자에 대한 종합 평정)
- 채용 의사결정 기법 전수
(다중회귀모형, 주관적 비중, 컷오프 방식, 동일 비중모형, 결합방식 등)
|
|
|
EVALU- ATION |
6. 평가단계 |
블라인드 채용 과정 평가 |
- 블라인드 채용 단계별 활동 수행 여부를 점검하고 단계별 활동 우수성을 평가하여 개선방안 모색
- 경영평가 및 감사 모니터링 항목에 근거한 채용과정 평가
- - 채용계획 모니터링
- - 채용공고문 모니터링
- - 입사지원서 모니터링
- - 직업기초능력 문항개발 모니터링
- - 직무수행능력 문항개발 모니터링
- - 면접문항 개발 모니터링
- 세부항목은 컨설팅 시 제공
|
|
|
블라인드 채용 성과 평가 |
- 블라인드 채용 프로세스와 기존 패용방식과의 차이점 도출
- 블라인드 채용 관련 내용의 조정 또는 개선 제안
- 채용평가 이용 대상 설문조사/FGI 기법 활용방법 설계
- 지원자 반응, 비용, 소요시간, 채용우수성 평가
- 결과에 대한 영향력 서베이 및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인 개선
|
|
|